가정폭력이란 참 무섭습니다.
신체적, 정신적인 보호를 받고 쉼을 누려야 하는 곳이
전쟁터이고 고문실이 되기 때문입니다.
피해자는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막막해질 수 있습니다.
왜? 이유는 다양합니다.
1. 두려움
보복에 대한 두려움 : 가해자가 더 큰 폭력을 행사할까 봐 겁나서
가정을 잃을까 봐 : 경제적 기반이나 자녀 양육 문제로 인해 가정을 유지하려는 심리가 작용함
외부 시선 : 이웃이나 친척, 사회의 비난을 받을까 두려움
2. 의존관계
경제적 의존 : 주로 가해자가 생계를 책임지고 있을 경우, 생계 걱정으로 신고를 주저함
정서적 의존 : 오랜 관계 속에서 심리적으로 의지하고 있어서 쉽게 끊어내지 못함
3. 자책감과 수치심
“내가 참으면 괜찮아질 거야”
“내가 잘못해서 그런 걸지도 몰라”
자신을 탓하거나, 가족 문제를 외부에 드러내는 걸 수치스럽게 여김
4. 사회적 인식 부족
“가정사는 집안일이다”라는 잘못된 인식
신고해도 제대로 된 보호나 지원이 이루어질지에 대한 불신
5. 자녀에 대한 걱정
신고하면 가정이 해체되고 자녀가 상처받을까 봐
자녀 양육권 문제, 자녀와의 생이별 가능성 등으로 인해 망설임
6. 학습된 무기력
반복된 폭력 속에서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는 무력감에 빠지는 경우
오랜 시간에 걸쳐 심리적으로 지배당하면서 현실을 바꿀 수 없다고 느끼게 됨
가정에 폭력이 일어나기 시작했다면 망설이지 마세요.
계속해서 도움을 구해야 합니다.
나이가 어린 친구들이라면 더욱 그렇습니다. (유치원,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절대 혼자 감당해서는 안 되는 문제이며
우리 사회에는 도움을 줄 수 있는 공공기관과 민간 지원단체들이 있으니
바로 전화하여 상담과 보호를 받으세요.
1. 긴급 상황 시
112 (경찰)
긴급하게 폭력이 발생했을 경우, 즉시 112에 전화하세요.
경찰이 현장에 출동하여 피해자를 보호하고 가해자를 제지합니다.
2. 여성긴급전화 1366
전화번호: 1366 (24시간 운영)
주요 역할
여성 대상 폭력(가정폭력, 성폭력 등) 전반에 대해 24시간 상담
보호시설 연계, 긴급 피난처 제공
심리상담 및 법률 상담 가능
3. 법률구조공단
전화번호: 132
홈페이지 www.klac.or.kr
주요 역할
가정폭력 관련 법률상담
이혼, 보호명령, 접근금지 등 법적 절차 안내 및 소송 지원
4. 가정폭력 상담소 및 보호시설
전국에 가정폭력 상담소와 피해자 보호시설(쉼터)가 운영 중
1366 상담을 통해 연결 가능하며, 장기 보호 및 자립 지원도 가능
5. 해바라기센터
성폭력, 가정폭력, 아동학대 피해자 통합 지원 기관
충남 해바라기센터
041-567-7117
주소 / 위치
충남 천안시 동남구 망향로 201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홈페이지 http://www.cnonestop.or.kr/
충남서남부 해바라기센터
041-635-1375
주소
충남 홍성군 홍성읍 조양로 224
위치
홍성의료원 내 모자보건센터 1층
홍성터미널 및 홍성역(장항선 열차) 병원앞 100m 위치
주요 역할
의료지원, 심리치료, 법률지원, 수사 연계 등 종합적 지원
6. 아동·청소년 폭력의 경우
아동학대 신고 112 또는 1391 (아동보호전문기관)
청소년 상담 1388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폭력에 오래 노출되거나 방치 되면 지금만 참으면 될 문제가 아니라
한 사람의 일생 일대를 혹은 이대, 삼대를 걸쳐 피해가 커집니다.
가정폭력이 한 번이라도 있으시고 있었다면
지금 나는 어떤지 확인해 보세요.
가정폭력으로 인한 광범위한 피해 유형
🩸 신체적 피해
멍, 상처, 골절, 내출혈 등 직접적인 신체 손상
장기 손상이나 장애로 이어질 수도 있음
반복될 경우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음
의료 접근이 제한되거나 방해받는 경우도 있음
🧠 정신적·심리적 피해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자존감 하락, 무기력, 자기혐오
‘학습된 무기력’: 아무리 노력해도 상황이 바뀌지 않는다고 느끼며 무력해짐
자살 충동 또는 자해 행동
💔 정서적 피해
가족 간의 애정과 신뢰 상실
인간관계 회피, 대인기피증
타인과의 유대 형성 능력 저하 (특히 아동과 청소년)
지속적인 긴장 상태로 인한 감정 기복
🧑👧👦 아동·청소년에게 미치는 피해
직접적인 피해: 아이도 폭력의 대상이 되는 경우
간접적인 피해: 부모 간의 폭력을 목격하는 것만으로도 심각한 정서·심리적 손상
공격적 성향, 위축, 분리불안, 사회 부적응
학교 부적응, 학업 저하, 비행 행동
폭력을 정상적인 관계 방식으로 오인할 위험
💰 경제적 피해
경제적으로 가해자에게 의존하게 되어 독립 불가능
피해자가 돈을 통제받거나 일하는 것을 금지당하는 경우
경제적 자립이 어렵고 탈출 기회를 잃게 됨
폭력 후 치료비, 이사비, 법적 비용 등의 경제적 부담
🔒 사회적 피해
외부와의 교류 차단 (고립)
가족 문제를 드러내는 것에 대한 수치심 → 사회적 은둔
지지 체계(친구, 친척, 이웃) 단절
고립 속에서 더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
🚨 법적·제도적 피해
신고했지만 제대로 된 보호를 받지 못할 때 발생하는 2차 피해
경찰, 법원, 사회복지기관 등에서 피해자의 목소리를 무시하거나 불신할 경우
보호명령 미이행, 가해자의 보복 등으로 재피해 가능성
⚖️ 장기적 피해
피해 경험이 트라우마로 남아 평생 영향을 줄 수 있음
건강 문제, 신뢰 문제, 직업적 불안정성, 재혼·재가정 형성에 어려움 등
아동은 성인이 되었을 때 폭력을 반복하거나, 반복되는 관계를 맺을 위험이 큼
나는 날 응원 할 수 있어요!
구호 외치고 용기내시길!
나는 약하지 않아!!!
침묵하지 않아!!!
난 참지 않아!!!
'복지.정책.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혼모가 받을 수 있는 정부 혜택과 미혼모가 알고 있으면 좋은 정보 정리 (1) | 2025.04.18 |
---|---|
청소년 대상 무료 상담 센터 (천안 외 충청권 지역 내 센터) (0) | 2025.04.18 |
[세금] 상속세 계산법과 절세 방법 (0) | 2025.04.17 |
[세금] 기초 세금 종류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