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세금의 큰 분류 – 국가세 vs 지방세
구분 | 설명 | 예시 |
국세 | 국가가 걷는 세금 |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등 |
지방세 | 시·도, 시·군·구가 걷는 세금 | 재산세, 자동차세, 주민세 등 |
💡 즉, 국세는 나라 운영비용, 지방세는 지역사회 운영비용에 쓰여요.
2. 세금의 과세 방식 분류 (어디에 부과되느냐)
1) 소득에 부과 – '소득세류'
세금 종류 설명 납세 대상
소득세 개인의 소득에 부과 근로자, 프리랜서, 자영업자
법인세 회사의 이익에 부과 모든 법인
상속세 재산을 물려받을 때 부과 상속받는 사람
증여세 증여(살아있을 때 재산을 넘겨줌) 시 부과 증여받는 사람
2) 소비에 부과 – '소비세류'
세금 종류 설명 납세 방식
부가가치세 (VAT) 물건을 사고팔 때 붙는 세금 (보통 10%) 소비자가 부담, 사업자가 납부
개별소비세 특정 고가/사치품 등에 부과 고급 자동차, 골프장 이용 등
주세 술에 붙는 세금 맥주, 소주 등 가격 일부는 세금
교통·에너지·환경세 휘발유, 경유 등 특정 물품에 부과 유류비에 포함돼 있음
3) 재산에 부과 – '재산세류'
세금 종류 설명 대상
재산세 부동산·건물 소유 시 매년 부과 건물주, 땅주인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부동산 합산 금액이 일정 기준 초과 시 부과 고가 부동산 보유자
자동차세 차량 보유 시 매년 납부 자동차 소유자
3. 세금의 납부 주체에 따른 분류 (직접 vs 간접)
직접세 : 납세자 본인이 직접 부담 소득세, 법인세, 재산세
간접세 : 물건 살 때 소비자가 부담 → 사업자가 대신 납부 부가가치세, 주세 등
🔍 한눈에 보는 한국 세금 체계 요약
① 국세
직접세 :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증여세
간접세 :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주세, 인지세 등
② 지방세
재산세, 자동차세, 주민세, 취득세, 등록면허세 등
근로자 : 보통 소득세는 월급에서 자동으로 원천징수돼요.
자영업자/프리랜서 : 매년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 필수!
부동산 거래 시 : 취득세, 등록세, 양도소득세 등 다양한 세금이 발생할 수 있어요.
절세 방법 : 연말정산, 세액공제, 기부금공제 등을 활용하면 세금 줄일 수 있어요.
📌 국세의 대표 세목별 용어 설명
세금명 | 설명 |
소득세 | 개인이 벌어들인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 |
법인세 | 회사(법인)의 이익(소득)에 부과되는 세금 |
상속세 | 부모나 친척이 사망하며 남긴 재산을 받을 때 내는 세금 |
증여세 | 살아있는 사람이 재산을 넘겨줄 때(증여) 받는 사람이 내는 세금 |
부가가치세 | 물건이나 서비스를 팔 때 붙는 부가된 가치에 부과하는 세금 물건값에 10% 정도 자동 포함되는 세금 (계산서·영수증에 나와요) |
개별소비세 | 특정 사치성 상품을 구매할 때 별도로 부과되는 소비세 특정 상품에 개별로 붙는 소비세 |
주세 | 술에 부과하는 세금 (맥주, 소주 등 알코올류 전반에 적용) 술을 살 때 제품 가격에 포함된 세금 (소비자 체감은 적지만 가격에 반영) |
인지세 | 계약서·증서 등 문서를 만들 때 그 법적 효력을 인정받기 위해 부과되는 세금 부동산 계약서, 차용증 등 공식 문서에 인지를 붙여야 할 때 발생하는 세금 |
'복지.정책.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혼모가 받을 수 있는 정부 혜택과 미혼모가 알고 있으면 좋은 정보 정리 (1) | 2025.04.18 |
---|---|
청소년 대상 무료 상담 센터 (천안 외 충청권 지역 내 센터) (0) | 2025.04.18 |
넌! 소중한 사람이야! 가정폭력 도움기관, 충남 해바라기, 폭력 피해 후 나의 피해 범위 확인하기 (0) | 2025.04.18 |
[세금] 상속세 계산법과 절세 방법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