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일반질염과 만성질염의 증상차이와 질염균의 종류, 치료, 산부인과검진 주기

by natworld 2025. 4. 15.
만성질염 증상과 치료

 
 
 

💡 질염

질염은 여성의 질 내부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고
대부분의 여성들이 한 번 이상 겪는 매우 흔한 질환입니다.
질염은 원인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지만,
크게 일반적인 급성 질염과 자주 반복되며 장기화되는 만성 질염으로 나눌 수 있어요.

 
 

✅ 일반 질염이란?

● 원인

일반 질염은 대부분 일시적으로 면역력이 약해지거나, 질 내의 정상적인 균형이 깨지면서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어요
 
곰팡이균     (칸디다균)에 의한 질염
세균성        (질 내 유익균 감소 → 염기성균 증식)에 의한 질염
트리코모나스 같은 원충 감염
성관계 후 위생 문제, 항생제 복용, 생리 전후 등도 일시적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증상

질 분비물 증가 흰색, 노란색, 연두색 또는 회색으로 변하고 냄새가 나는 경우 많음.
외음부 가려움 칸디다균 질염일 경우 특히 심함.
따가움, 화끈거림 소변 볼 때 자극감 있음.
악취 생선 비린내 같은 냄새세균성 질염의 전형적인 증상.
붓기 외음부가 붓고 민감해짐.
√ 일반 질염은 대부분 1~2주 내에 적절한 치료로 쉽게 호전됩니다.
 
 

 만성 질염이란?

● 원인

√  3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연 4회 이상 재발하는 경우 만성 질염으로 간주합니다.
√  초기엔 단순한 감염이었지만, 아래와 같은 이유로 치료가 어렵고 오래 가는 경우가 많아요.
√   반복적인 항생제 사용 질 내 유익균 감소
√  성관계 후 재감염
√   면역력 저하 (수면 부족, 스트레스, 만성 질환)
√  치료를 중단하거나 잘못된 자가 치료
√  자궁경부염 또는 자궁내막염 등 타 질환 동반
 
 

● 증상

√  만성 질염의 증상은 일반 질염과 유사하지만, 증상이 미약하게 지속되거나 자주 재발하는 것이 특징이에요.
√  분비물 냄새나 색깔이 미묘하게 변함. 증상이 계속되거나 다시 생김
√  가려움 심하진 않지만 계속되는 간지러움
√  소양감 & 따끔거림 치료 후에도 잔여 증상처럼 남음
√  질 내 통증 질 깊숙한 부위까지 불편함이 느껴짐
√  성관계 시 통증 만성화되면 질벽이 약해져 성교통 유발
 
 

일반 질염 vs 만성 질염 치료법 차이

√  항목 일반 질염 치료 만성 질염 치료
√  치료 기간은 보통 1~2주 내외 수주~수개월 이상 필요
√  치료 방식은 원인균에 따라 약 처방 (항생제, 항진균제 등) 복합적 접근 필요: 약물 + 면역 개선 + 생활습관 교정
√  약물 치료 질정, 크림, 경구약 경우에 따라 맞춤형 질정 치료, 장기적인 약 복용
√  재발 방지 치료 후 생활 위생 주의 질 환경 복원 (유산균 사용 등), 성생활 조절
√  기타 치료 없음 면역력 강화, 자궁경부 상태 점검, 전신 건강관리
 
 
 

🌿 만성 질염 치료 시 꼭 알아야 할 포인트

● 치료 중단 금지          :   증상이 나아졌다고 중간에 치료를 멈추면 다시 재발하기 쉬워요.
● 질 내 유익균 복원      :   락토바실루스 등 유산균 섭취 또는 질용 유산균 제품 활용
● 면역력 개선               :   수면, 식사, 스트레스 관리가 핵심입니다.
● 속옷, 위생관리           :   면 속옷 착용, 통풍 잘 되는 옷 선택, 생리대 자주 교체
● 성관계 시 콘돔 사용   :   감염 예방 및 치료 중 재감염 방지
● 병원 정기 검사           :   자궁경부 상태나 HPV 검사 병행 추천
 
 

🔍 만성 질염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5개 이상 해당 시 전문 진료 권장)

□ 질 분비물이 자주 늘어나고 냄새가 난다
□ 성관계 후 따끔거림이 자주 있다
□ 가려움이 수시로 반복된다
□ 항생제 치료 후에도 재발한 적 있다
□ 생리 전후로 증상이 심해진다
□ 질 내 통증이나 묵직한 느낌이 있다
□ 3개월 이상 반복적으로 질염 치료를 받았다

 
 

🦠 질염을 일으키는 주요 균 종류 총정리

 

1.  칸디다균 (Candida albicans) – 곰팡이균

✅종류 :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질염명 : 칸디다성 질염 (진균성 질염)
✅특징
여성 질 내에 원래 존재하는 곰팡이균이
면역력 저하 또는 항생제 사용 등으로 과도하게 증식
✅주요 증상
덩어리진 흰색 분비물 (치즈/두부 찌꺼기 같음)
심한 가려움증
붓기, 따가움
✅원인 : 항생제, 당뇨, 스트레스, 임신, 면역 저하
✅치료 : 항진균제 (질정, 크림, 경구약)

 

2.  가드네렐라균 (Gardnerella vaginalis) – 혐기성 세균

✅질염명 : 세균성 질염 (Bacterial Vaginosis)
✅특징
유익균(락토바실루스) 감소로 혐기성 세균이 과도하게 증식
✅주요 증상
회색~흰색의 묽은 분비물
생선 비린내 같은 강한 악취
가려움은 적지만 냄새가 특징적
✅원인 : 질 내 pH 불균형, 성관계 후, 세정제 과다 사용
✅치료 : 항생제 (메트로니다졸 등)

 

3.  트리코모나스균 (Trichomonas vaginalis) – 원충

✅질염명 : 트리코모나스 질염
✅특징
성관계를 통해 전염되는 원충 감염
✅주요 증상
거품 섞인 녹색~노란 분비물
심한 가려움, 작열감
성교통, 배뇨 시 통증
✅원인 : 성접촉, 공중목욕탕 이용 등
✅치료 : 항원충제 (메트로니다졸), 파트너도 반드시 치료 필요

 

4. 연쇄상구균 (Group B Streptococcus, GBS)

✅질염명 : GBS 감염성 질염
✅특징
건강한 여성의 질 내에도 있을 수 있는 세균이지만 임신 중 감염되면 태아에게 위험
✅주요 증상
무증상 가능성 있음.
질 분비물 증가, 약한 가려움
✅위험성 : 임산부일 경우 신생아에게 감염될 수 있음
✅치료 : 항생제 치료, 임산부는 분만 전 검사 필요
 

5.  임질균 (Neisseria gonorrhoeae)

질염명 : 임균성 질염
✅특징
성병(STD)의 일종으로 감염력이 매우 강함
✅주요 증상
점액성 또는 고름 같은 분비물
성교통, 배뇨 시 통증
하복부 통증
✅치료 : 항생제 치료, 파트너도 치료 필요

 

6.  클라미디아균 (Chlamydia trachomatis)

✅질염명 : 클라미디아 질염
✅특징
성접촉으로 전염되며 증상이 없는 경우 많음
✅주요 증상
질염 증상이 약하거나 없음
자궁경부염 동반 가능
골반통, 출혈 가능
✅위험성 : 방치 시 불임, 골반염증성질환(PID) 유발
✅치료 : 항생제 치료, 조기 발견 중요

 

7.  헤르페스 바이러스 (Herpes Simplex Virus, HSV)

✅질염명 : 바이러스성 질염 (성기 헤르페스)
✅특징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 주변 염증
✅주요 증상
물집, 궤양
통증, 가려움, 배뇨통
✅치료 : 항바이러스제 (완치 불가, 증상 억제 중심)

 
 

✅  기타 질염 원인

이름설명
유레아플라즈마, 마이코플라즈마정상적으로도 존재하지만 감염 시 염증 유발
HPV (인유두종 바이러스)질염보다 자궁경부염, 자궁경부암과 연관
탈모세포, 비누 등 이물질자극성 질염 유발 가능

 
 

✅  마무리 요약

균 종류주요 질염 유형주요 증상치료법
칸디다균칸디다성 질염흰 치즈같은 분비물
가려움
항진균제
가드네렐라균세균성 질염비린내, 회색 분비물항생제
트리코모나스트리코모나스 질염거품 분비물, 통증항원충제
임질균/클라미디아성병성 질염고름 분비물, 하복통항생제
GBS임산부에게 위험무증상 또는 분비물항생제
헤르페스바이러스 질염물집, 통증항바이러스제

 
 

🏥 건강보험공단 권장 산부인과 검사 주기 요약표

검사 항목대상자권장 주기비고
자궁경부암 검사
(자궁경부세포검사, Pap smear)
만 20세 이상 여성2년마다 1회건강보험공단 국가암검진 대상
유방암 검사
(유방촬영술)
만 40세 이상 여성2년마다 1회국가암검진 대상
HPV 검사
(인유두종 바이러스 검사)
30세 이상 여성
(권장)
5년마다 1회 또는
Pap smear 병행
보험 비급여인 경우 많음
골반 초음파성생활 경험 여성
또는 이상 증상 있을 경우
1년 1회 이상 권장자궁근종,
난소낭종 조기발견용
(비급여 가능)
STD(성병) 검사성생활 중이거나
파트너 변경 시
필요 시 수시로클라미디아, 임질, 매독 등
난소암 검사
(CA-125)
고위험군 여성필요 시일반 검진에는 포함되지 않음